지난 26일 금융위원회에서는 새 정부 청년정책 추진을 위한 범정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청년 관련 정책 중 청년 도약계좌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합니다.
올해 초 많은 청년들의 관심을 받았던 청년희망적금을 폐지시키고 윤석열 대통령은 청년도약계좌 신설을 예고했습니다. 매월 70만원으로 5,000만원이라는 종잣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 도약계좌는 2023년에 출시 및 운영할 예정인 만큼 가입조건과 지원 내용등을 미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월 70만 원을 5년동안 납입하면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지난 청년희망적금과 유사한 형태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보다 오랜기간을 납입하고 더 큰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1년차 | 2년차 | 3년차 | 4년차 | 5년차 | |
납입금액 | 840만 원 | 1,680만 원 | 2,520만 원 | 3,360만 원 | 4,200만 원 |
만약 5년동안 꾸준히 70만원을 납입했다면 총 4,200만원이 되며 정부 지원금액은 약 800만원이나 되는 상당히 파격적인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 도약계좌는 기존 청년정책과 마찬가지로 만 19세부터 34세의 청년이면 누구나 지원이 가능하며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80%이하, 개인 소득이 6,000만원 이하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 나이 : 만 19세부터 34세 (병역이행 기간이 있는경우 최대 6년 연장)
- 개인소득 : 연 6,0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 중위소득 180%이하
중위소득은 전체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말하며 2022년 기준 중위소득은 위와 같습니다. 만약 2022년 1인가구의 중위소득 180%를 구하려고한다면 1,944,812원에 180%를 곱해 약 350만원이 나옵니다.
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7인가구 |
2022년 중위소득 180% 금액 |
3,500,661원 | 5,868,153원 | 7,550,461원 | 9,217,944원 | 10,844,127원 | 12,432,607원 | 14,005,065원 |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에 출시되므로 가구소득 범위가 달라지겠지만 간략적인 2022년의 중위소득 180%의 범위는 위와같으니 참고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
청년도약계좌는 월 40만원~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의 3%~6%를 보태주는 방식으로 지원되며 본인 납입액과 정부 기여금에 은행이자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이자 소득 역시 비과세 혜택으로 제공됩니다. 정책취지를 감안하여 장기상품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금리수준, 월납입방식 등의 세부사항은 협의 후 발표된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기존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를 비교하면 가입조건은 널널해졌으며 가입기간과 만기금액은 대폭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역시 초기 계획안과 많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소득조건은 없었으며 만기금액 역시 1억원이였지만 가입기간은 10년에서 5년으로, 만기금액은 1억원에서 5천만원으로 줄이고 소득조건 역시 추가됐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기금액이 줄어든 만큼 청년도약계좌의 예산을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겠지만 발표된 2023년에서 2026년 중기 예산 계획의 청년도약계좌 재정투입 규모는 연평균 7,000억 원가량으로 추정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예산이 약 3600억원이였던 점과 2027년까지 청년도약게좌의 재정투입 규모는 약 3조 원으로 알려진만큼 예산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야할까?
아무래도 가입기간은 길지만 조금 더 큰 혜택을 위해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하고 청년도약계좌로 이전을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야할지 여부를 묻는다면 아직은 모른다입니다.
금융당국의 말에 따르면 만기가 된 청년희망적금을 청년도약적금으로 갈아탈 수 있게 해주는 방안을 포함한 연동책을 검토중이라 언급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사실상 폐지된만큼 형평성 문제등으로 인해 다양한 방법이 마련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공공주택 청년 주거대책처럼 어느정도 종잣돈이 있다면 다양한 선택지를 고를 수 있는 만큼 초기자본의 존재 유무는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어떤 정책이 발표될지 모르는 만큼 목돈을 마련해 미래를 대비하고자 한다면 이번 청년도약계좌에 관심을 가지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공공분양 주택 50만호와 미혼 청년특공 총정리
새정부는 5년동안 청년과 서민을 위한 공공분양 주택 50만 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정부 대비 3배 이상의 수치이며 3가지 유형의 공공분양과 많아진 공급물량을 활용해 시
tench.gnflfhfh5103.com
2022 청년희망적금 폐지? 새로 신설될 청년도약계좌
올해 초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형성하기위해 정부에서는 청년희망적금을 출시했습니다. 연 10%라는 파격적인 이율에 많은 청년들의 관심을 받았지만 2주라는 짧은 가입기간에 많은 인원
tench.gnflfhfh5103.com
'정부정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총정리 - 대상, 금리, 신청방법 (0) | 2022.11.03 |
---|---|
2022년 &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 비교 및 계산방법 (0) | 2022.11.02 |
공공분양 주택 50만호와 미혼 청년특공 총정리 (1) | 2022.10.31 |
전세계약 반드시 확인해야하는 유의사항 (0) | 2022.10.29 |
2022 국민연금 총정리 - 대상자, 보험료, 지급나이 (0) | 2022.10.28 |
댓글